『강수빈은•••』
강수빈은 1998년 6월 12일 에 출생했다. 한자로는 진주 강(姜)에 빼어날 수(秀),빛날 빈(彬)을 뜻한다.
『River Forest』
이름을 줄여 [강숩]'이라고도 불리고, [숩]이라고도 불린다. 이 준말을 강(River)과 숲(Forest)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해석을 가장 좋아한다.)
『The First Kang』
‘강(姜)’씨 성 덕분에 초중고대 호명 1순위로 살아왔다. 대학교에 오면 벗어날 줄 알았으나, 역시나 또 첫 번째로 불리고 말았다.
『디자인의..디자인의..디자인』
고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2017년부터 4년간 디자이너이자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했다. 현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문화예술과 시각디자인을 공부한다.
『고양이와..고양이와..고양이』
현재 살고 있는 집에는 고양이 2마리, 본가에서는 고양이 8마리의 반려인으로 함께 지내고 있다. 어쩌다 이렇게 많아졌는지 의문이지만 행복하다.
『낯을 가리지만...』
낯가림이 심한 사람이라는 것을 17살에 처음 깨달았고, 26살인 지금도 여전하다. 그렇지만 은근히... 대화를 즐긴다.
『쓸모 찾기』
변화를 만드는 데에 쓸모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단, 자기 착취의 딜레마에 빠지지 않고.
- 신인아, "가령, '한국에서 가능할까?'를 묻지 않을 수 있을까?'"-
『공간(이어서 그리고 끝』
나는 안정되고, 고정되고, 범할 수 없고, 손대지 않았고 또 거의 손댈 수 없고, 변함없고, 뿌리깊은 장소들이 존재하기를 바란다. 기준이자 출발점이자 원천이 될 수 있는 장소들
『장소들』
나의 고향, 내 가족의 요람, 내가 태어났을지도 모르는 집, 내가 자라나는 것을 보았을지도 모르는(내가 태어난 날 아버지가 심었을지도 모르는) 나무, 온전한 추억들로 채워져 있는 내 어린 시적의 다락방...
『이런 장소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곳들이 존재하지 않기에, 공간은 질문이 되고, 더는 명백한 것이 못 되며, 더는 통합되지 않고, 더는 길들여지지 않는다. 공간은 하나의 의심이다. 나는 끊임없이 그곳을 기록해야 하고 가리켜야 한다. 공간은 결코 내 것이 아니며, 한 번도 내게 주어진 적이 없지만, 나는 그곳을 정복해야만 한다.
『나의 공간들은 부서지기 쉽다.』
시간이 그것들을 마모시킬 것이며 그것들을 파괴할 것이다. 어떤 것도 그전에 있던 것과 유사하지 않을 것이고, 내 기억들은 나를 배반할 것이며, 망각이 내 기억 속에 침투할 것이고, 나는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 채 가장자리가 다 해지고 색이 바랜 사진들을 쳐다볼 것이다.
『조각』
공간은 모래가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듯 사라진다. 시간은 공간을 데려가 형태를 알 수 없는 조각들만 내게 남겨놓는다.
『글쓰』
무엇인가를 붙잡기 위해, 무언가를 살아남게 하기 위해 세심하게 노력하기, 점점 깊어지는 공허로부터 몇몇 분명한 조각들을 끄집어내기, 어딘가에 하나의 흠, 하나의 흔적, 하나의 표시, 또는 몇개의 기호들을 남기기..
『 Y 』
근심걱정이 많아져 홀로 시간을 보내고 싶을 땐 꼭 Y에게 먼저 전화가 온다. 그리 중요하지 않은 이야기들을 쪼잘 쪼잘 한참을 말하고는 갑자기 활기찬 안녕을 고하며 또 '먼저' 전화를 끊는다. 처음에는 왜 나를 방해하나 싶었는데, 점점 그 시간이 은근히 좋아지기 시작했다. 전화를 끊고나면 쓸데 없는 잡념들이 사라지고 편안해진다. 무지개 같이 왔다가 사라지는 Y~
『 H 』
H는 어떤 것에 있어서 못 할 것 같은 이유를 말할 때, 과감히 새로운 길을 뚫어준다. 무슨 걱정이 그리 많냐는 듯이
『 J 』
무모한 도전보단 안정된 것을 선호해서인지 J의 즉흥적인 시도들을 지켜보면 왠지 모를 쾌감이 온다. 그 사이에서 나도 조금씩 물들어가는 게 좋다. J는 꼭 <아이엠러브>의 엠마처럼 벽을 허문다.
『 G 』
G와 항상 자신이 반응 하는 것들의 까닭을 잘 찾는다. 자신이 무엇을 왜 좋아하고 싫어하는지에 대한 100가지 이유가 늘 준비되어있다. G에게 ’그냥‘이란 이유는 없다. 나도 내 까닭을 찾아야지.